전체 글

3주차 내용 메모 프로젝트를 만들어 본다. 메시지의 작성 시간을 나타내고, 수정을 가능하게 한다. 1. 서버를 먼저 만든다 > 스프링을 이용해서 CRUD 기능을 가진 Memo API 를 만든다. i. Restcontroller : json 으로 응답하는 자동응답기 ii. Service : 업데이트, iii. Repository : 생성, 삭제, 조회, iv. RequestDto : 변경, 데이터를 들고 다니는 친구, (정보 옮김이) 2. HTML (뼈대), CSS(꾸미기) 3. Javascript : 움직이게 해주는 것, jQuery : 화면을 숨기고 나타내는 방법 4. 클라이언트를 완성하고 서버와 연결하기 >> 완성된 페이지를 로컬에서 확인하기 [ 컨트롤러 : 클라이언트와 붙어서 요청, 응답을 처리함 ..
2주차 내용-3 API :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약속 REST : 주소에 명사, 요청방식에 동사를 사용함으로써 의도를 명확히 드러냄 Ø 생성 POST / 조회 GET / 수정 PUT / 삭제 DELETE Ø 주소에 들어가는 명사는 복수형을 사용하고, 동사는 사용하지 않는다. Ø GET / courses PUT/ courses /2 와 같은 방식 @RequiredArgsConstructor @RestController public class CourseController { private final CourseRepository courseRepository; @GetMapping("/api/courses") public List getCourses() { return courseRepository.fi..
2주차 내용-2 상속의 개념 Extends : 클래스의 상속 class Person { private String name; private String getName() { return this.name; } } class Tutor extends Person { private String address; // Person 클래스를 상속했기 때문에, // name 멤버변수와 getName() 메소드를 가지고 있습니다. } DB의 기본은 생성일자와 수정일자! @MappedSuperclass // 상속했을 때, 컬럼으로 인식하게 합니다. @EntityListeners(AuditingEntityListener.class) // 생성/수정 시간을 자동으로 반영하도록 설정 public abstract class ..
2주차 내용-1 API :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상호작용하는 창구 RDBMS: 관계형 데이터베이스, SQL : 데이터베이스 언어 Ø H2 : 서버가 작동할때만 구, 서버 중단시 모두 삭제됨, In-memory DB Ø MySQL : 서비스 배포 시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, AWS RDS 서비스 사용할 예정 JPA : 스프링은 자바로 작동, DM 는 SQL로 작동, 이 두 사이의 번역기 역할 Repository : JPA를 작동시키는 매개체 H2 웹콘솔 띄워보기 src > main > resources > application.properties 에서 아래 웹콘솔 설정 복사 spring.h2.console.enabled=true spring.datasource.url=jdbc:h2:mem:testdb [코드작..
인텔리제이 실행시 항상 이전에 사용하던 프로젝트가 자동으로 열려서 불편했다. 초기화면으로 프로젝트 선택해서 오픈할 수 있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. 상단 사이드바의 File > Setting > System Setting  에서 Reopen projects on startup 체크 해제해주면 끝
계속 추가될 예정 Ctrl + Alt + L : 코드정렬 Ctrl + Y : 한줄삭제 Crtl + D : 한줄복사 ALT+Enter : 첫번째 Import class 입력으로 자동생성 (@Entity , @Id 등 ) Ctrl + G : 동일한 단어 다중선택 해서 바꾸기 기능 Insert 키가 눌러져 있을 경우 커서가 네모로 바뀌면서 엔터치면 아래줄로 이동됨
keartt
주니어 탈출일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