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itHub #push #pull #clone #pull request

2023. 3. 2.·Git
목차
  1. GitHub
  2. 사용하는 이유
  3. 원격 저장소
  4. 로컬 저장소를 원격 저장소에 올리는 방법
  5. git push
  6. 깃허브에 내 저장소 올리기
  7. 주소명 다 치기 귀찮을 때 
  8. git clone
  9. repository 설정에서 팀원 추가하기
  10. git pull
  11. 반드시 pull 받고 push 해야 함 
  12. pull = fetch + merge
  13. pull request
  14. github branch 만드는 법
  15. 협업시에는 merge 전에 검토 필수
반응형

GitHub

가장 많이 쓰는 원격 저장소 사이트 

GitHub

 

GitHub: Let’s build from here

GitHub is where over 100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, together. Contribute to the open source community, manage your Git repositories, review code like a pro, track bugs and fea...

github.com

가입하고 repositoryt 만들면 됨

사용하는 이유

버전 관리하려고 git 사용했지만 결국 로컬 저장소임

= 내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갑자기 망가지면 백업본 다 날라감

 

원격 저장소

이를 해결하기 위해 온라인 repository 를 사용함

= 컴퓨터 고장시에도 안전하고, 협업도 가능함

 

로컬 저장소를 원격 저장소에 올리는 방법

깃허브는 기본 브랜치 이름을 main 을 사용함

더보기
git branch -M main
// 마스터 브랜치 이름이 main이 아닐경우

git push

깃허브에 내 저장소 올리기

git push -u github_repository주소 branch이름

깃헙 repo 주소

주소명 다 치기 귀찮을 때 

git 에서도 변수 지정할 수 있음

git remote add 변수명 url

변수명도 치기 귀찮을 때

-u 붙이면 앞으로 그냥 push 만 해도 저기로 들어감

git push -u 변수명 branch명

 

git clone

협업할 때, 팀원도 코드를 가지고 있어야 함

  1. zip 파일로 받기
  2. 파일 통째로 주기
  3. git 명령어 사용하기
git clone 저장소주소

repository 설정에서 팀원 추가하기

 

git pull

= 푸쉬된 내용 받기

git pull 주소 (branch이름)

반드시 pull 받고 push 해야 함 

원격저장소에 새로운게 생기면 push 불가능

원격저장소의 최신 내용이 로컬 저장소에 있어야만 함

 

pull = fetch + merge

fetch : 원격저장소의 신규 commit 가져와서 임시 branch 에 저장해

 

pull request

협업시에는 branch 만들어서 개발하고 완성되면 merge 하는게 정석, 안정적

github branch 만드는 법

git branch 브랜치명
git push 저장소명 브랜치명

협업시에는 merge 전에 검토 필수

=>  merege 요청 = pull request

반응형
저작자표시 (새창열림)
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#Github Desktop 사용법  (0) 2023.03.02
#GitFlow #깃 협업 방식 #hotfix  (0) 2023.03.02
#Git 코드 빠꾸하기 #git revert #restore #reset  (1) 2023.03.02
#Git branch 만들고 병합하기 (git branch & git merge)  (0) 2023.03.02
Git 간단설명 (빡대가리도 이해가능)  (0) 2023.03.02
  1. GitHub
  2. 사용하는 이유
  3. 원격 저장소
  4. 로컬 저장소를 원격 저장소에 올리는 방법
  5. git push
  6. 깃허브에 내 저장소 올리기
  7. 주소명 다 치기 귀찮을 때 
  8. git clone
  9. repository 설정에서 팀원 추가하기
  10. git pull
  11. 반드시 pull 받고 push 해야 함 
  12. pull = fetch + merge
  13. pull request
  14. github branch 만드는 법
  15. 협업시에는 merge 전에 검토 필수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#Github Desktop 사용법
  • #GitFlow #깃 협업 방식 #hotfix
  • #Git 코드 빠꾸하기 #git revert #restore #reset
  • #Git branch 만들고 병합하기 (git branch & git merge)
keartt
keartt
shalpha_2@naver.com
주니어 탈출일기 🐽
shalpha_2@naver.com
  • keartt
전체
오늘
어제
  • 전체보기
    • CS & 알고리즘
      • CS (컴과학)
      • 알고리즘
      • 백준
    • Spring
      • SpringBoot (JPA)
      • Spring (Legacy)
    • Server
      • Linux
      • Docker
    • Java
      • Design Pattern
    • PostgreSQL
    • GIS (공간정보)
    • 오류정리
    • Git
    • JavaScript
      • Node.js
      • React
    • Tool
      • IntelliJ
      • MacOS
      • VSCode
      • Eclipse
      • Other
    • 강의정리들
      • [2023] FullStack
      • [2022] Spring Boot
      • [2021] Spring Boot

인기 글

태그

이분탐색
구간합
브루트포스
코딩애플
반응형
hELLO· Designed By정상우.v4.6.1
keartt
GitHub #push #pull #clone #pull request

개인정보

kearttshalpha_2@naver.com계정관리

운영중인 블로그

주니어 탈출일기쓰기블로그 관리

이동링크목록

  • 티스토리 홈
  • 피드
  • 로그아웃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