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의정리들/[2022] Spring Boot

Spring boot_[홍팍]

keartt 2022. 10. 27. 22:31
반응형

스프링 부트란? 스프링과 스프링 부트의 차이

스프링 부트를 공부하며 게시판 만들기 를 진행한다. 

keartt/uproject (github.com)

더보기
  • 스프링 부트 2.6.7 
  • 자바 11
  • 인텔리제이 IDEA
  • Gradle , Lombok, JPA, ,Mustache, Web, H2

 

웹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요청과 동작으로 이루어진다. 

 

스프링은 /resources/static 내부에 있는 html 파일을 불러오게 된다. 

Mustach 는 view template 를 만드는 도구이다. 정적 html 파일? 느낌 .. 변수는 {{}} 로 처리한다.

/resources/tamplates 폴더에 .mustache 타입으로 생성 >> ( mustache 플러그인 설치 선수)

 

뷰를 보기 위해서는 컨트롤러가 필요하며 이는 기본 패키지 내부에 controller 패키지를 생성하고

내부에 ~~controller.java 클래스 파일을 만들어 사용한다.

 

클래스명 위에 @Controller 어노테이션을 추가해 컨트롤러임을 선언하며

@GetMapping("/url") 을 통해 접속할 url  을 설정해준다. 

그리고 return 파일명; 을 통해 파일명.templates를 출력한다. 

 

파라미터로 Model model 을 추가하여서 변수를 등록할 수 있다.

model.addAttribute("변수명", "변수값");

더보기

모델이 변수값을 변수명에 대입해서 보내준다.

 

더보기

_참고

html 형식의 경우 {{>~/~}} 를 이용해 footer 와 header 를 간단히 표시 가능 

부트 스트랩을 이용해 html 형식 편하게 설정 가능 

Introduction · Bootstrap v5.0 (getbootstrap.com)

 

<fom>

html 요소 form 태그에 담긴 데이터로 어디로? 어떻게 보낼지에 대한 내용이 필요하다.

어디로 >  action =" url "

어떻게 > method  = "post" 

             >>  controller 내부에 @PostMapping("")

 

이런 내용이 전송이되고 controller 는 이 데이터를 DTO 를 통해 받는다.

 

dto 는 컨트롤러와 동일 레벨에 패키지를 추가하고 내부에 생성한다.

dto 내부에는 받고자 하는 변수명을 설정 ( 생성자와 toString() 필요 )

 

JPA

DB는 자바 언어를 모른다  > JPA 를 통해 자바로 DB에 명령을 전달한다. 

  • Entity : 자바 객체를 DB 가 이해할 수 있게 잘 규격화 된 DATA
  • Repository : Entity 는 repository  를 이용해 DB 에게 전달, 처리 된다. 

1. DTO 를 Entity 로 변환

Article article = form.toEntity();  // form 은 DTO

Article 클래스는 entity 라는 패키지를 생성 후 내부에 만든다. > @Entitly 로 DB 가 해당 객체를 인식가능하게 하고,

Entity 에는 대표값을 넣어줘야 한다.

@Entity // DB 가 해당 객체를 인식 가능하게
@AllArgsConstructor
@ToString
@NoArgsConstructor // 디폴트 생성자 추가
public class Article {

    @Id // 대표값을 지정
    @GeneratedValue // 자동 생성 어노테이션
    private  Long id; // 대표값을 넣어줘야 함

    @Column // DB 테이블에 연결되게 
    private String title;
    @Column
    private String content;
    }

toEntity 는 dto 내에 아래 코드를 삽입해 준다. 벼수값에 맞게 

public Article toEntity() {
        return new Article(null, title, content);
    }
}

 

2. Repository 에게 Entity 를 DB 안에 저장하게 한다. 

Article saved = articleRepository.save(article);

 컨트롤러에 필드에 (클래스 내에) 아래 코드 삽입

@Autowired // 스프링 부트가 미리 생성해놓은 객체를 자동 연결
private ArticleRepository articleRepository;

repository 는 패키지를 생성 후 내부에 인터페이스 파일을 생성해준다.

JPA 에서 제공하는 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아래 코드와 같이 간단하게 생성해준다. CRUD

public interface ArticleRepository extends CrudRepository<Article, Long> {}
// < 관리대상 entity, 기본값 타입 >

 

 

Lombok 과 리팩토링

Lombok : 코드 간소화 도구

              > 필수코드의 반복을 최소하하고 로깅을 통해 println  간소화 + 기록 을 남길수 있다.

@AllArgsConstructor // 롬복을 이용해 생성자 제거
@ToString           // 롬복을 이용해 ToStirng 메서드 제거

  //System.out.println(form); > 로깅으로 대체
        log.info(form.toString());

로깅을 사용할 때는 @Slf4j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주어야 함. 

: 실제 서버에서는 println 을 사용하지 않는다. 

 로깅을 이용하면 데이터가 컨트롤러의 로그 기록에 찍힌다. (다양한 정보 제공 ) 

 

 

URL 요청받기 - PathVariable

@GetMapping("/articles/{id}") // 변수인 id 페이지
public String show(@PathVariable Long id, Model model){ //(URL path 로 부터 변수 입력 + 모델사용)

    //1 id로 데이터를 가져오고 repository.findbyid 이용
    Article articleEntity = articleRepository.findById(id).orElse(null); // ENTITY에 id 값이 없으면 null 반환

    //2 가져온 데이터를 모델에 등록하고
    model.addAttribute("article", articleEntity);

    //3 보여줄 페이지를 설정한다.
    return "articles/show";}

 

 

웹의 동작 원리와  MVC 패턴

더보기

스프링의 MVC 패턴은 Model, View, Controller 의 동작을 의미한다.

View는 화면을 Controller 는 처리를 Model 은 데이터 관리를 한다.

1.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통해 data 를 요청한다.

2. controller 가 요청 url 을 받아 찾고자 하는 data 를 정보로 전달한다.

3. Repository 가 DB 에게 data 를 요청한다

4. DB 는 data 를 entity 로 반환한다.

5. entity는 다시 Repository > controller > Model > View 를 거쳐 사용자에게 결과페이지를 전달한다. 

 

출처  스프링 부트, 입문! - YouTube

 

반응형